NAT ( = Network Address Translation )
- 주소 변환 기술
- 공인 IP 부족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
사설 IP를 지정하여 intranet 내부에서만 임의의 IP를 사용할 수 있게 함
중복된 IP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설 IP를 이용한 공용 네트워크 통신을 제한 함
intranet에서 공용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Router에서 사설 IP를 공인 IP로
변환 시켜 내보내야 함
NAT 사용 목적
- IPv4 부족현상 완화
- 공인 IP사용 비용 감소
- 보안
NAT 종류
- Static
- 공인IP (1) : 사설IP (1)
- 외부에서 내부로 바로 접근해 올 수 있게 해주기 위해서. ( 일반적으로 기업의 고객을 위한 사이트에서 이용 )
- 라우팅의 NAT Table 에 SNAT, DNAT 둘 다 기록 됨.
- Dynamic
- 다 대 다 ( n : n)
- IP의 범위 와 범위를 줌.
- PAT ( Port Address Translation )
- 공인IP (1) : 사설IP (N)
- 한 개의 공인 IP 에 여러개의 사설 IP를 포트번호로 구분해서 할당
- 일반적으로 공유기가 이에 해당함.
interface FastEthernet0/0
ip address 10.10.145.254 255.255.255.0
ip nat inside
no shutdown
interface FastEthernet1/0
ip address 200.200.200.145 255.255.255.0
ip nat outside
no shutdown
access-list 1 permit 10.10.145.0 0.0.0.255
ip nat pool dynamicNAT 200.200.200.145 200.200.200.148 netmask 255.255.255.0
ip nat pool patNAT 200.200.200.145 200.200.200.148 netmask 255.255.255.0
다이나믹 NAT로 할 시 : ip nat inside source list 1 pool dynamicNAT
NAT-PAT 로 할 시 : ip nat inside source list [ACL number] pool [pool name] overload
또는 ip nat inside source list [ACL number] interface [outside interface] overload
확인, 조회 명령어
show ip translations
show ip route
show running-config
show ip int br
debug ip nat
'INFOSEC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etwork 기본 동작 구조 (0) | 2019.09.03 |
---|---|
Router ACL (0) | 2019.08.30 |
Packet Tracer - routing 실습 (0) | 2019.08.12 |
Port Address (0) | 2019.08.12 |
NW 운영관리 (0) | 2019.08.08 |